-
[기자수첩]
책상머리 행정의 부실
부실 방지책은 공직자의 경제 마인드와 주민참여 확대
2018년도에 경산시는 2억4천만원을 들여 옥산동 청구아파트 단지 가로의 콘크리트 옹벽에 조명 등 조형물을 설치하는 ‘성암산가로경관개선사업’을 시행했다. 사업 후 가로경관이 밝아져 보기가 좋았다. 그러나 보도에 쉘터..
-
[기자수첩]
‘경산대추축제’ 유감
보은 온라인대추축제의 대성공 VS 경산의 미개최
코로나 상황임에도 보은대추축제는 네이버에 광고를 싣고 공중파방송을 타며 성황리에 개최됐다. 판매중심의 온라인축제로 변신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10월 30일까지 열린 2주간의 축제 기간 중 무려 51만 명이 축제 프..
-
[기자수첩]
경산시, ‘행복지수’ 낮은 까닭은?
대한민국 행복지도 상 ‘행복지수’는 D, ‘삶의 만족도’는 최하위 수준, ‘행복역량지수’는 중간
‘대한민국 행복지도’에서 경산시의 행복지수는 하위 수준, 삶의 만족도는 최하위 수준 , 행복역량지수는 중위 수준으로 나타났다.‘대한민국 행복지도’는 국회미래연구원과 고려대학교 구교준 교수 연구팀의 2019년도 연구보..
-
[기자수첩]
경산, 주민에게 과실 돌아가는 ‘성장전략’ 절실하다!
기준중위소득 85% 이하 가구, 경산시 33.3% VS 구미시 27.6%
‘경상북도 재난긴급생활비’ 지급 결과, 경산시의 기준중위소득 85% 이하 가구의 비율이 도내 타 시·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문제는 경산시의 경제성장률이 타 시군보다 높고, 외형적 도시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에도 ..
-
[기자수첩]
안동산불, 한사람이 시작하고 만명이 끝냈다
[회원사 소식]
산불은 공식적으로는 불머리부터 불꼬리까지 모두 진화됐다고 한다. 하지만 안심하기에는 이르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여전히 불씨가 남아 있다는 우려 속에 소방당국은 야간에도 뒷불 감시 대원을 편성했고 낮에는 구역별로 나..
-
[기자수첩]
4.15 선택, 쟁점 공약 비교
공약인가 공약이 아닌가 선택은 유권자의 몫
대부분의 공약들은 실행방안과 재원조달에 대한 설명조차 없다. 일부는 경산시에서 이미 추진 중인 사업이거나 추진계획을 발표한 사업들이다. 주요한 공약들은 다른 선거에서 공약으로 발표됐으나 실행되지 않은 재탕 삼탕들이다..
-
[기자수첩]
4.15총선, 무엇을 심판해야 하나?
대구·경북을 초라하게 만든 것들을 심판해야 한다!
민주 정치는 국민이 좋아하는 것을 하고 싫어하는 것을 하지 않는 것이다. 선거는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묻는 심판이다.이번 선거에서는 대구·경북을 초라하게 만든 ‘무능’을 심판해야 한다.확실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
[기자수첩]
4.15 선택,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공직을 혁신할 능력을 가진 사람, 일을 되게 하는 사람이 리더다!
4월 15일, 우리는 우리 지역의 정치 리더인 국회의원을 선출합니다. 국회의원은 공직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집니다. 우리가 세월호 선장류를 선택하느냐 이순신 장군형을 선..
-
[기자수첩]
경산시 확진자 ‘3명중 2명’이 ‘신천지’
신천지 신도 790여명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필요
28일 현재 경산시의 코로나19 발생 현황을 보면, 확진자는 96명이다. 감염경로는 신천지 60, 지역감염 16, 확진자 접촉 20명으로 확진자 3명중 2명이 산천지교회 신도이다.지금까지의 신천지 신도들에 대한 관리..
-
[기자수첩]
‘녹풍다경’과 마이너스 경제성장
경북, 경제부진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반성, 책임이 필요하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020년 신년화두로 ‘녹풍다경(綠風多慶)’을 제시했다.그러나 경북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2년 연속 마이너스 경제성장을 기록하고 있다.전국은 평균 2.8%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고 있음에도 경북도는 ..
-
[기자수첩]
결핵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다!
경산시, 지난해 결핵 신환자 119명, 노인결핵 54.6%
국민 3명 중 1명에게 결핵균이 잠복되어 있을 정도로 결핵이 공중보건 문제가 되고 있고, 65세 이상 노인들의 결핵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매일 약 72명의 결핵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약 5명이 사망하는 등..
-
[기자수첩]
대임지구, 어떤 도시로 개발되나?
LH, 금년 내 지구계획 승인, 보상착수 목표
지난 9월 30일, 경산시는 사업시행자인 LH의 ‘지구지정변경 및 지구계획 보완신청’에 대한 의견을 담은 협의서를 송부했다.이로써 대임지구 조성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지구계획은 LH의 협의사항 조정·반영과 국토부의..
-
[기자수첩]
경산시 도심 주차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
‘카마겟돈’시대의 도래를 상상하며 당장의 주민불편을 완화할 방안 강구해야...
도시의 주차문제는 장기적으로는 저절로 해결된다는 것이 미래학자들과 도시공학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인구 감소로 인한 스마트시티와 콤팩트시티(압축도시)의 도래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민의에 따라 시의원들의 주차대책을 ..
-
[기자수첩]
경산시의 적정인구는 몇 명일까?
저출산·고령화·저성장에 알맞은 도시정책을 고민할 때
경산시 상황은 어떨까?현재(2019.5.31.기준) 경산시의 총인구는 272,861명이다. 지난 10년간(2008-2018) 경산시의 인구는 연평균 1.1% 성장했다. 하지만, 20세 이하의 인구는 연평균 1.6% ..
-
[기자수첩]
제8대 경산시의회, 1년간의 의정활동
의원발의 조례 4배, 의안처리 50% 증가... 양질의 의정활동 펼치겠다!
우선 의정활동의 양적지표를 살펴보면 대의기관의 정책활동을 나타내는 의원발의 조례건수가 7대 4건에서 8대 17건으로 무려 4배 이상 늘었다. 회의일수와 회의시간이 늘어났고, 의안처리 건수는 123건으로 7대 83건에..